티스토리 뷰

엑셀에서도 방향키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 실무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한 셀씩 움직이거나 커서 이동을 할 때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키보드의 방향키를 움직였는데 한 셀씩 움직이지 않고 화면 전체가 움직이는 경우 입니다. 한 셀씩 움직여야 그 다음이나 위 또는 아래 셀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을 할 텐데 화면 전체가 움직여서 일일히 마우스로 클릭을 해서 써야 하는 경우 입니다.

이 경우 역시 엑셀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가 아닌 키보드의 키 설정 때문에 그렇습니다.

 

한 셀씩 움직이도록 수정하는 방법

일반적인 경우 엑셀에서 방향키로 움직였을 때 셀 한 칸씩 이동

일반적인 경우라면 셀을 클릭한 후 방향키를 누르게 되면 누르는 방향키에 맞춰서 셀이 한 칸씩 이동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한 칸씩 움직이지 않고 열 방향, 또는 행 방향으로 전체가 움직이는 경우 입니다. 이럴 때는 마우스로 셀을 클릭해서 셀 값을 수정하거나 데이터를 수정해야 되서 굉장히 번가롭고 시간도 많이 들어갑니다. 키보드 방향키로 움직이면 될 일을 마우스로 하고 있으니 시간은 더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방향키를 눌렀을 때 열 방향으로 전체 이동

이렇게 오른쪽 방향키를 눌렀을 때 셀 전체가 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입니다. 엑셀 설정을 찾아봐도 없고 엑셀을 처음 사용하거나 아직 익숙하지 않다면 많이 당황할만한 상황입니다. 위에도 있듯이 이 경우는 엑셀의 설정이나 에러가 아닌 키보드 설정 하나 때문에 그렇습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작업하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모르는 키가 눌려질 수 있는데 바로 그런 경우 입니다.

 

키보드에 있는 스크롤 락 키

사용하는 키보드에서 방향키 위쪽에 보면 ScrLK라는 키가 있습니다. 키보드마다 각인되어 있는게 조금씩 다르긴한데 방향키 라인에서 가장 위쪽에 있습니다. 일반 사무용 키보드에는 모두 들어가 있으며 가끔 텐키리스(숫자키가 없는 키보드)나 소형 키보드(75%배열이나 80%배열 등등)의 키보드는 Fn 키 조합으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거의 모든 키보드에는 들어가있는 키 입니다. 

이 키를 누를 때 마다 화면이 전체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셀 한 칸씩 움직입니다.

 

키보드 스크롤 락 인디게이터가 켜져 있는 상태

지금은 스크롤 락이 켜져 있는 상태 입니다. 키보드마다 다른 경우도 있지만 키보드에는(숫자키가 있는 일반 키보드 기준) 키보드의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인디게이터라는 게 있습니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장 왼쪽은 가장 오른쪽의 숫자키를 숫자키로 사용할 것인지 방향키로 사용할 것인지. 두 번째 인디게이터는는 캡스 락이라고해서 대문자나 소문자를 고정하는데 많이 쓰이고 세 번째 인디게이터가 스크롤 락 입니다. 

스크롤 락 인디케이터가 켜져 있게 되면 LED가 켜지게 되고 행이나 열 방향으로 전체가 움직이게 됩니다.

 

키보드의 스크롤 락이 꺼져있는 경우

스크롤 락을 한번 더 눌러서 스크롤 락 기능을 끈 상태 입니다. 이 경우에는 행이나 열 방향 전체로 움직이지 않고 행이나 열 방향으로 움직이긴 하지만 셀 한 칸씩 움직입니다. 따라서 갑자기 엑셀이 행이나 열 방향 전체로 움직인다면 키보드의 스크롤 락을 한번 눌러서 끈 후 다시 한번 방향키를 움직이면 셀이 한 칸씩 움직이는걸 확인할 수 있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