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비를 할인받을 수 있는 K-패스 발급 방법 및 사용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실 경우 전환만 하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달에 15번 이상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신다면 최대 53% 할인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금 당장 사용을 하지 않더라도 미리 발급을 받아 놓는 것이 좋습니다. 발급은 11개 카드사에서 신청을 하실 수 있으며 아래 K-패스 카드 발급받기 바로가기 링크를 누르시면 사용하시거나 원하시는 카드사에서 빠르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목차
케이패스 카드는 10개 카드사에서 발급 및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한 카드사는 국민, 농협, BC, 삼성, 신한, 우리, 현대 DFB유페이등이 있습니다. 2024년 4월 24일 수요일부터 신규 발급이 가능합니다. 바로 아래 K-패스 카드 발급받기 바로가기 링크를 누르시면 K-패스 카드 신규 발급을 빠르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서 2024년 5월 1일부터 K-패스로 회원 전환을 해야 합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쓰시던 분들은 2024년 4월 30일 화요일까지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 전환을 꼭 하셔야 알뜰교통카드에서 쓰시던 계정 그대로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빠른 회원 전환은 바로 아래 알뜰교통카드 전환하기 바로가기 링크를 누르시면 전환을 하실 수 있습니다.
👉 4월 30일까지 K-패스 회원 전환을 완료하셔야 합니다.
👉 5월 1일 수요일에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를 합니다.
👉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 교통카드를 사용해서 적립을 합니다.
✔ 5월 1일 이후 전환을 할 경우 전환일로부터 적립이 시작됩니다.
✔ 5월 1일 이후 신규가입 시 알뜰교통카드에서 사용했던 아이디로는 가입을 하실 수 없습니다.
케이 패스 카드를 발급받게 되면 최대 60번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됩니다. 일반 성인과 청년, 저소득층을 기준으로 해서 최대 60번 이용까지 일정 비용을 할인받으실 수 있습니다. 할인 혜택이 다르니 아래 표를 참고하셔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 할인율 |
---|---|
일반 | 20% |
청년 | 30% |
저소득 | 53% |
👉 청년 : 만 19세부터 34세까지
👉 저소득 : 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800m의 이동거리가 있어 버스 및 지하철의 금액, 대상에 따른 환급액이 지급되었지만 K-패스 카드는 이동거리 기준이 없어지고 최소 이용 횟수 15회만 채우면 됩니다. 일반인의 경우 연간 최대 216,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보다 더 환급률이 높으며 각 카드사에서 추가적인 할인 혜택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K-패스는 전국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지자체에 따라서 K-패스가 지원되지 않는 일부 지역도 있습니다. 현재는 전국 189개의 시, 군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계속해서 확대가 될 예정입니다. 전국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만큼 거주하시거나 이용하시는 지역에 따라서 이동 후 사용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바로 아래 사용 가능 지역 바로가기 링크를 눌러서 사용 가능한지 미리 알아보신다면 K-패스 카드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