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사실조사는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데 안 하게 되면 과태료 50만원이 부과됩니다. 간단하게 핸드폰으로 할 수 있는 기간이 있고 그 기간이 지나게 되면 대면 조사를 해야 하니 번가로울 수 있습니다. 정부 24 어플로 1분 만에 할 수 있습니다.
꼭 세대주가 아니어도 세대원 중 한명만 하면 되니까 꼭 하시길 바라며,
아래 정부 24 앱 링크를 남겨 드리고 방법까지 알려드릴 테니 지금 바로 꼭 하셔서 과태료 50만 원 부과되지 않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정부 24 앱을 다운로드하고 앱에 들어간 후 본인 인증을 해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본인 인증은 카카오 및 토스로도 인증이 가능합니다.
GPS를 이용해서 조사에 참여하기 때문에 집에서 해야 합니다.
👉 중간쯤으로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서비스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눌러줍니다.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가 필요합니다. 주민등록지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위해서 핸드폰의 GPS를 이용해야 하는데 그에 대한 동의입니다. 거의 대부분 핸드폰을 가지고 있고 앱을 이용해서 하기 때문에 동의만 하면 됩니다.
따라서 주민등록상의 거주지에서 해야 합니다.
👉 다음으로 넘어가게 되면 참여 방법과 기간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조사는 이미 진행하고 있으니 오른쪽 아래에 다음을 눌러서 넘어갑니다.
👉 다음으로 넘어가게 되면 자동적으로 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나오게 됩니다. 주민등록번호는 앞의 생년월일과 뒤의 성별을 구분 짓는 번호까지만 나오고 그 뒤로는 별표 처리가 돼서 출력됩니다.
확인을 하고 다음을 눌러서 넘어갑니다.
👉 다음으로 넘어가면 세대 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세대원의 경우 자신의 이름이 나오지 않고 세대주의 이름이 나올 수 있습니다. 세대주가 아니라도 세대원 중 한 명만 참여하면 됩니다.
👉 세대 정보가 맞다면 실제와 같음을 선택하고 다음 단계를 눌러서 넘어갑니다.
👉 마지막으로 GPS를 통해서 주민등록상의 주소지와 비교를 하게 됩니다. GPS의 특성상 주변 50m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부분의 오차는 허용 범위 안에 들게 됩니다.
GPS가 잡히지 않거나 완전히 다른 위치 (예를 들면 회사)에서 하게 되면 허용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주소지가 어느 정도 일치하게 된다면 아래에 자료 제출이 가능하다는 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이때 오른쪽 하단의 자료 제출을 눌러 줍니다.
👉 최종적으로 2023년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마칠 수 있습니다. 빠르면 1분 안에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앱만 받으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인 제출이 끝나고 2023년 주민등록사실조사가 끝나게 됩니다.
저 역시 오늘 했는데 다음 또는 확인만 누르면 되기 때문에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정당한 사유 없이 않게 되면 과태료가 부과되니 아래 앱 링크를 눌러서 정부 24를 받은 후 꼭 참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비대면조사(정부 24 앱 이용) : 2023년 7월 17일부터 8월 20일까지
📍 대면조사 : 2023년 7월 17일부터 11월 10일까지
비대면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을 경우 11월 10일까지 주민등록조사사실을 마쳐야 합니다.
정당한 사유 없이 주민등록사실조사를 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 50만 원이 부과됩니다.
비대면 조사 기간 내에 참여하지 않으면 비대면으로 방문 조사를 받아야 하니 시간이 더욱 낭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이 글을 보고 있을 때 바로 한다면 과태료 50만 원을 피할 수 있습니다.
1분이면 되니 아래 링크를 눌러서 주민등록사실조사에 참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주민등록사실조사 참여방법과 기간, 과태료를 알아봤습니다. 아직 홍보가 부족한 탓에 모르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당한 사유 없이 주민등록사실조사를 하지 않게 되면 과태료 50만 원이 부과되니 지금 바로 위 링크를 눌러서 주민등록사실주사를 참여하고 과태료가 부과되는 일이 없기를 바라겠습니다.